본문 바로가기
정보의범람

노후준비 ISA 계좌 어떤 것으로 만들어야 할까?

by 세 미 콜 론 2024. 11. 4.
728x90
반응형

요즘 절세테크라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절세케트란 무엇인가! 바로 절세를 통한 재테크를 의미한다. 절세테크란 사실 수익이 많지 않을 때는 그렇게 눈에 띄게 느낄 수 없지만, 그 적은 수익이라도 15.4%의 세금을 내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제하고 받게 된다. ISA계좌를 이용하면 일정 금액 까지는 이런 세금을 아낄 수 있기 때문에 금액이 불어날수록 절세의 중요성이 커진다.

ISA 계좌란?

ISA 계좌는 쉽게 말해서 여러 금융 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계좌다. 나는 한국투자증권에 중개형 ISA 계좌를 개설했다. 사실 ISA 계좌의 큰 장점 중 하나는 바로 세제 혜택이다. 앞서 말했듯이 절세에 대한 부분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노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ISA 계좌를 운용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ISA계좌를 이용하면 계좌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 이자나 배당 소득의 일정부분에 대해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데, 이게 생각보다 크다.

이자 소득 혹은 배당 소득이 100만원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그 중 15만 4천원을 세금으로 내게 되는데 이 부분에 대해 면제를 받는 셈이다. 그렇다면 배당 투자를 하는 투자자라면 ISA 계좌로 투자 하는 것이 훨씬 좋다고 볼 수 있다. 나는 월 배당을 통해 언젠간 은퇴하리라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떄문에 ISA 계좌를 적극 운용하는 것이 훨씬 좋다. 일정 금액을 넘어서게 되더라도 저율 과세로 분리 과세 되기 때문에 소득세를 높게 내지 않아도 되는, 즉 투자 수익을 온전히 누릴 수 있는 계좌를 만들 수 있다.

ISA 계좌의 종류

ISA 계좌는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일반형 ISA, 중개형 ISA. 일반형 ISA 계좌는 또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신탁형 계좌와 일임형 계좌이다. 신탁형은 간접 투자 방식으로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투자 상품을 묶어서 투자하는 방식이다. 일임형은 자산운용사에게 맡겨서 알아서 투자하고 수익 중 일부를 운용비로 내게 되는 방식이다.

내가 추천하는 것은 중개형 ISA이다. 스스로 알아서 종목을 담을 수 있고 알아서 운용하는 방식이다. 만약 노후 준비에 대해 확고하게 생각하고 있는 바가 있다면 중개형 ISA 계좌를 만드는 것이 좋다. 물론 전문가가 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겠지만 스스로 운용을 해보아야 더 투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나는 중개형 ISA 계좌를 추천한다.

ISA계좌에 무엇을 담을까?

  • 코스피 200 ETF: 국내 시장의 성장성을 반영해주며, 세제 혜택을 받으면서 한국 경제의 성장에 투자할 수 있다.
  • S&P 500 ETF: 미국 시장의 안정적 성장에 투자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유하면 세제 혜택과 함께 시장 성장을 기대할 수 있어 좋다.
  • MSCI 월드 ETF: 글로벌 선진국 시장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ETF로, 노후 자산 분산에 유리하다.
  • 배당주 ETF: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하는 ETF로, 은퇴 후에도 꾸준히 배당 소득을 받으며 세제 혜택도 누릴 수 있다.

라고 하는데 나는 배당주 ETF를 담기로 했다. 은퇴 후에 소득을 얻을 길이 막막하기 때문에.... ISA계좌에 열심히 매달 10만원정도씩이라도 배당 ETF를 담아서.. 월 배당금을 늘리는 것이 목표다. 현재는 월 배당 2만원정도씩은 받는 듯...?

배당금을 늘려서.... 계속 해서 배당을 늘려가봐야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