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회사에서 사용하는 특정 서비스의 로그는 aLog2024-11-08_01.log, aLog2024-11-08_02.log, aLog2024-11-08_03.log, aLog2024-11-08_04.log의 형태로 파일명이 지정된다. 하나의 로그가 너무 큰 용량을 가지는 것을 우려하여 일정 크기로 잘라놨다.
그러다보니까 grep -r 로 내부 문자열을 찾을 때 약간 불편함이 발생.
그래서 사용한 방법은 grep -r '문자열' ./aLog2024-11-08_* 이다.
이 명령어를 이용하면 모든 aLog2024-11-08_로 시작하는 파일에서 grep -r 로 해당 문자열이 들어간 행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렇게 _이후에 파일이 30~40번대까지 너무 많은 경우는..... 10 단위로 잘라서 생각하면 아주 편하다..
리눅스 history 시간 기록하는 방법 (0) | 2024.10.31 |
---|---|
[오류] 리눅스 메모리 사용량 높은 순으로 정렬하는 명령어 (1) | 2024.03.25 |
리눅스 폴더 경로 이동하기 cd 사용법 (1) | 2024.03.24 |
리눅스 alias(별칭) 설정하는 방법 (0) | 2021.01.13 |
Linux vi편집기에서 라인번호 보기 / 라인이동 / 최상단 최하단 이동 (0) | 2021.01.09 |